playland

초등학교 중학년 신체놀이 – 플레이스틱 놀이 모음

안녕하세요! 놀이대장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할 새로운 놀이를 찾아온 당신! 잘 찾아오셨습니다.

학생수가 많아서, 혹은 적어서 놀이 활동이 걱정이신가요?

맡고 있는 학년이 어려서, 혹은 높아서 걱정이신가요?

준비가 복잡하고 가르치기 어려울 것을 걱정하시나요?

그런 고민들을 해결하기 위해 저는 오늘도 글을 씁니다.

끝까지 읽어보시고 원하는 것을 얻어가시길 바랍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학년을 중심으로 저학년, 고학년까지 아우를 수 있는 신체놀이를 추천드리겠습니다. 오늘 놀이들은 플레이스틱을 활용하는 놀이로, 순발력과 전략적 움직임이 필요합니다. 변형에 따라서는 좁은 교실에서도, 넓은 체육관에서도 실시할 수 있는 놀이입니다.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으며, 한 번 연습을 하고 나면 교사의 지도 없이도 할 수 있는 놀이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목차에 별도로 변형을 넣지 않고, 놀이마다 바로 밑에 변형을 달아드리겠습니다.

1. 신체놀이 준비물

신체놀이 준비물
  • 플레이스틱 필요! 인원 수 만큼은 보유하시는게 좋습니다. 다방면으로 사용되는 교구이므로 학교 예산으로 한 세트 정도는 구비해두시길 추천드립니다.
  • 변형 놀이를 위해서는이 필요합니다!

https://search.shopping.naver.com/search/all?where=all&frm=NVSCTAB&query=%ED%94%8C%EB%A0%88%EC%9D%B4%EC%8A%A4%ED%8B%B1

네이버 쇼핑에 플레이스틱을 검색한 내용입니다. 저는 판매자가 아닙니다.

2. 개요

  •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활용할 수 있는 놀이들로 채워보았습니다.
  • 수업의 메인 놀이를 별도로 두고 일종의 몸풀기 놀이로 활용하셔도 좋습니다.
  • 학년 초, 아이스브레이킹 활동으로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 다른 신체놀이를 위한 교구들에 비해 비교적 안전사고가 날 확률이 적은 편에 속합니다.

3. 설명

가. 하나 둘 셋: 경기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모둠별로 둥글게 원을 만들 듯 마주 섭니다. 3명 이상의 인원이 한 모둠에 배치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둘이서도 할 수 있기는 한데, 동선 문제로 인해 충돌하는 사례가 있더라구요. 자기 자리에서 학생들은 플레이스틱을 곧게 세웁니다.

교사의 ‘하나, 둘, 셋!’ 신호에 맞춰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합니다. 모든 학생이 플레이스틱을 넘어뜨리지 않고 넘겨 받으면 성공입니다. 모둠별로 몇 번 성공하는지를 겨루는 놀이입니다. 놀이를 조금 변형하자면, 옆자리로 넘어가며 박수를 치게 해주시면 됩니다. 보통 박수를 세 번 치는 것 까지는 어떻게든 되는데, 그 이상부터는 많이 어려워집니다. 승부가 쉽게 나지 않을 경우 선택해볼 수 있는 변형입니다.

신체놀이
하나 둘 셋 경기장 예시

나. 순발력 태그게임: 일대일 경기입니다. 플레이스틱 하나를 두 사람 사이에 내려놓습니다. 두 사람의 뒷편에는 각자의 도착을 표시해줍니다. 경기장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체놀이

두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합니다. A와 B라는 학생이 경기를 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A가 가위바위보에서 이겼다면, A는 얼른 플레이스틱을 주워 B를 터치해야 합니다. B가 도착선을 통과하기 전에 먼저 터치를 하면 A의 승리입니다. 하지만 B가 A의 터치 이전에 도착선을 통과했다면 B의 승리가 됩니다. 순간적인 판단과 순발력이 필요한 놀이입니다.

놀이를 변형해보고 싶다면 기본형대로 여러번 경기를 한 후에 규칙을 뒤집어주시면 됩니다. 가위바위보에서 진 사람이 이긴 사람을 터치해야 하는 방식으로 말입니다. 별 것 아닌 규칙의 변형이지만 중학년까지 학생들에게는 또 다른 놀이로 인식됩니다. 헷갈려서 잠시 사고가 정지되는 모습을 보게 되실겁니다.

다. 족대놀이: 물고기를 잡는데 사용하는 족대 아시지요? 그 족대놀이입니다. 족대놀이는 기본적으로 2인 1조로 진행합니다. 협동이 처음이자 끝과 같은 놀이입니다. 짝이 마주 섭니다. 플레이스틱 두 개들 한 손에 하나씩 듭니다. 플레이스틱 위에 공을 올립니다. 기본 자세는 아래와 같습니다. 플레이스틱 사이를 벌려서 공을 떨어뜨립니다. 재빨리 플레이스틱 사이를 좁혀서 공을 다시 받아냅니다. 더 많은 횟수를 성공한 팀이 승리합니다.

신체놀이
족대 놀이 기본 자세

라. 족대놀이 응용버전: 족대놀이를 발전시켜 팀 놀이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 반환점을 지정한 후에 공을 바톤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달리다 공이 떨어지면 떨어진 공을 주워와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다시 달리기 시작합니다. 달리기, 균형 맞추기, 짝과 속도 맞추기, 높이 맞추기 등 경기를 진행하며 신경써야 할 부분이 상당히 많아진 놀이입니다. 고학년들에게 적합합니다. 중학년 수준에서는 반환점을 지정하고 뛰어가는 것이 아니라 바로 옆에 있는 우리 팀에게 공을 넘기는 방식으로 결승점에 빨리 도달하기를 겨룰 수 있습니다.

image 17
중학년 수준의 족대놀이 응용버전

4. 주의사항

첫 번째 놀이인 ‘하나 둘 셋’의 경우 가장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은 아이들이 무의식중에 추진력을 얻기 위해 자기가 세우고 있던 플레이 스틱을 밀며 출발한다는 것입니다. 그럼 당연히 플레이 스틱이 넘어지게 됩니다. 이 부분은 시작 전에 미리 안내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두 번째 놀이인 ‘순발력 태그게임’의 경우 아이들이 신나면 진 사람을 잡을 때 작정하고 플레이 스틱을 휘둘러 상대를 때리는 경우가 생깁니다. 이런 경우를 방지하지 위해 때리기가 아니라 찌르기 방식으로 놀이를 지도하시면 되겠습니다.

5. QnA

Q. 순발력 태그게임의 경우에 두 학생의 능력 차이가 많으면 어떻게 할까요?

밸런스를 조절해주시는 것은 교사의 몫입니다. 팀을 구성할 때 밸런스를 고려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은 플레이스틱의 위치를 조금씩 조절해주셔서, 선수마다 도착선까지의 거리가 조금 차이나게 조절해주시는 것도 방법입니다. 놀이는 승리를 위한 것이 아니며, 보상을 걸고 할 활동도 아닙니다. 따라서 박진감 넘치는 경기를 위한 조치임을 사전에 아이들과 이야기 나누시길 권장드립니다.

Q. 족대놀이를 해보고 싶은데 아이들이 조금 어려워 하는 것 같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공 대신에 고무 풍선을 사용해보세요. 혹은 킨볼도 좋습니다. 바닥에 튀기는 것이 아니라 공중으로 던져서 받는 연습을 시켜보시기 바랍니다. 이런 구체들의 특징은 상대적으로 가볍고 체공시간이 길어서 아이들이 접근하기에 용이합니다. 적당한 체공시간을 가지는 킨볼이 좋으나, 킨볼의 경우 구비해둔 학교가 그렇게 많지 않을테니, 고무풍선으로도 충분히 해볼 수 있겠습니다.


링크모음 섬네일 작은버전 1
수정구를 클릭하시면 다양한 놀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