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land

초등학교 전학년 교실놀이 – 릴레이 스태킹

안녕하세요! 놀이대장입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해드릴 교실놀이는 ‘릴레이 스태킹’입니다. 이름에서 유추하실 수 있듯이 이번 놀이는 기본적으로 스피드 스택스용 컵을 가지고 할 수 있는 컵쌓기 놀이입니다. 다른 글들을 보신 분들은 이제 다들 아시겠지만, 변형과 응용을 통해서 ‘릴레이 스태킹’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방식의 놀이 또한 추천드리겠습니다. 변형에 따라 좁은 장소나 넓은 장소 모두 응용이 가능합니다. 변형과 응용의 수준에 따라 전학년에 적용시킬 수 있는 놀이입니다.

1. 교실놀이 준비물

교실놀이 준비물
  • 스피드스택스가 필요합니다. 팀당 1세트가 필요합니다.
  • 변형 놀이를 위해서는 색이 다른 스피드스택스 세트가 필요합니다.
  • 또 다른 변형 놀이를 위해서는 점보스택스가 필요합니다. 점보스택스는 양동이 사이즈의 컵입니다.
  • 또 다른 변형을 위해서는 활동지가 필요합니다. 활동지 예시를 첨부해드릴테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https://search.shopping.naver.com/search/all?where=all&frm=NVSCTAB&query=%EC%8A%A4%ED%94%BC%EB%93%9C%EC%8A%A4%ED%83%9D%EC%8A%A4

해당 링크는 네이버쇼핑에서 스피드스택스를 검색한 내용입니다. 저는 판매자가 아닙니다.

2. 개요

  • 이어달리기와 같이 주자들이 순서대로 나가서 컵을 쌓는 놀이입니다.
  • 다른 놀이들에 비해 변형과 응용을 통해 파생되는 놀이가 많습니다.
  • 속도와 집중력이 요구되는 놀이입니다.
  • 변형 놀이의 경우에는 협동도 잘해야 합니다.
  • 기본형부터 변형까지 잘 응용하시면 전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놀이를 구상하실 수 있습니다.

3. 규칙

  • 기본형은 교실에서 책상만 치워줘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출발선을 정하고 적당히 떨어진 거리에 팀별로 책상 한 개 씩을 배치합니다. 경기장의 형태는 대충 아래와 같습니다.
실내놀이
기본형 경기장
  • 각 팀의 1번 주자가 달려나갑니다. 자기 팀의 책상 위에 놓인 스택스 컵을 4-3-2-1개씩 쌓아 4층을 완성한 뒤 다시 원래 상태로 포개어 놓습니다.
  • 출발선으로 돌아옵니다.
  • 각 팀의 2번 주자가 달려나갑니다. 1번 주자와 마찬가지로 자기 팀의 책상 위에 놓인 스택스 컵을 4-3-2-1개씩 쌓아 4층을 완성한 뒤 다시 원래 상태로 포개어 놓습니다.
  • 이런 방식으로 진행하여 어느 팀이 먼저 경기를 끝내는지 겨루는 놀이입니다.

4. 변형

4-1. 학생수가 많다면 고려할만한 방법입니다. 홀수 번호의 주자는 쌓고, 짝수 번호의 주자는 정리하는 방식으로도 릴레이를 이어가실 수 있습니다.

4-2. 스택스 컵을 쌓는 방식을 주자마다 다르게 설정합니다. 놀이를 준비하는 사람이 쌓아올려야 하는 형태를 미션지 방식으로 제시하는 놀이방법입니다. 다른 형태의 쌓기 방법은 아래 예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다양한 형태의 쌓기 방식을 제시하시면 됩니다.

교실놀이
변형 4-1 미션지 예시

4-3. 세 번째 변형은 4-2 변형을 응용한 방식입니다. 출발선에서 자신의 미션지를 확인합니다. 뛰어나가 컵을 쌓습니다. 만약 컵을 쌓다가 자신이 쌓아야 하는 모양이 기억나지 않는다면 출발선으로 돌아와 미션지를 다시 확인합니다. 형태에 대한 순간적인 기억력이 필요한 방식입니다. 단순한 놀이였던 경기가 어느새 체력 운동이 되어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4-4. 네 번째 변형은 4-3 변형을 또 다시 응용한 방식입니다. 색이 다른 컵을 준비해주시면 변형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미션지의 난이도를 더욱 올린 방식으로, 형태를 달리한 것 뿐만 아니라 색의 순서까지도 기억해야 하는 방식입니다. 고학년 학생들에게 적합하며, 팀당 학생수가 적을 때 활용하기 좋은 방식입니다. 미션지의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교실놀이
변형 4-4 미션지 예시

4-5. 다섯 번 째 변형은 4-4 변형을 응용합니다. 스택스 컵 중에는 숫자가 적어진 컵들이 있습니다. 형태, 색, 숫자까지 기억하여 쌓아가야 하는 방식입니다. 학생들 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며, 초등학교 선생님들을 대상으로 연수를 진행할 때, 바로 이 방식의 변형까지 적용시켰습니다. 극강의 체력 운동으로 탈바꿈 할 수 있는 변형입니다. 학생들을 데리고 진행했을 때는 외우려 하지 않고, 컵 하나를 확인하고 가서 쌓고, 출발선으로 돌아와서 다시 확인하고 가서 쌓기를 반복하는게 오히려 빨랐습니다. 컵 하나당 출발선으로 한 번씩 돌아와야 했으니 대충 8~10회를 왕복달리기를 실시하게 되었습니다. 아래는 미션지의 예시입니다. 숫자가 적어지지 않은 컵은 어떤 숫자라도 상관이 없는 컵입니다.

교실놀이

4-6. 점보스택스를 활용하는 놀이입니다. 이 변형의 경우 큰 컵을 사용하다보니 체육관 등의 넓은 장소가 필요합니다. 컵의 크기만 달라졌을 뿐 기본형과 같은 방식으로 실시합니다. 경험상 스택스 컵을 활용하는 기본형 놀이보다 훨씬 역동적인 활동이 가능합니다.

4-7. 기본 규칙은 기본형과 같습니다. 하지만 이번 변형에서는 2인 1조로 짝을 지어 활동합니다. 주자들은 손을 잡고 출발합니다. 팀원과 잡고 있는 손을 제외한 다른 손으로만 점보스택스를 쌓아 올립니다. 잡은 손은 놓지 않습니다. 주자들의 협동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무너지기 쉽습니다. 급하게 쌓아 올리려고 하기 보다는 하나씩 천천히 정확하게 쌓아 올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변형의 경우 다양한 학년이 섞인 상황에서 하기 좋습니다. 저학년과 고학년을 짝으로 맺어주시고, 중학년들끼리 짝을 맺어주시면 됩니다. 선배들이 이끌고 후배들이 따라가는 보기 좋은 광경을 보실겁니다. 학년초 적응 프로그램으로써 활용 가치가 높습니다.

5. 주의사항

  • 어느 놀이나 마찬가지지만 ‘남 탓’을 주의하셔야 합니다. 학생들에게 필히 지도하실 부분입니다. 누구나 가지고 있는 재능이 다르기 때문에 누군가는 이 놀이를 잘하고 누군가는 이 놀이를 못하는 것은 정말 자연스러운 일입니다. 이러한 부분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아래 QnA에 적어드린 첫 번째 내용을 필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6. QnA

Q. 4-2 변형부터 4-5 변형까지 진행을 하다 보면 학생들의 수준 차이 때문에 격차가 벌어지지 않나요?

벌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팀의 밸런스를 맞춰주시는 것이 교사의 큰 역할 중 하나입니다. 팀이 잘 짜여졌어도 격차가 벌어질 수 있는데, 이 때는 심판의 판단에 따라 미션지를 주자의 방향으로 돌려주셔서 컵을 쌓는 곳에서 미션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들어서 보여주시면 됩니다. 상대팀 학생들의 불만이 있을 수 있는데, 저의 경우 다음과 같은 내용의 지도를 미리 실시했더니 불만이 확연히 줄었습니다.

1. 놀이의 목적은 즐거움이지 승리가 아니다.

2. 더욱 박진감 넘치는 경기의 운영을 위해서는 팀의 균형을 맞출 필요가 있다.

3. 어느 팀이라도 어려움이 생겼을 때 같은 혜택을 적용시키겠다.

Q. 스피드스택스 컵이 없습니다. 어떻게 할까요?

학교 교무실에 흔히 볼 수 있는 물건 중에는 ‘종이컵’이라는 아주 좋은 교구가 있습니다. 종이컵으로 대체하시고, 변형에 필요한 색깔의 경우 색칠하시면 됩니다. 다만 종이컵으로 진행할 경우 스택스 컵과 달리 바닥의 면적이 매우 적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입이 닿는 부분은 바닥에 닿도록 엎어서 쌓는 방식으로만 미션지를 구상해주시면 됩니다.


링크모음 섬네일 작은버전 1
수정구를 클릭하시면 다양한 놀이를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