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land

인공지능시대! 초등교사로 살아남기(3)

안녕하세요! 놀이대장입니다. 오늘은 ‘인공 지능시대! 초등교사로 살아남기’ 시리즈 3탄입니다. 아직 1탄과 2탄을 보지 않으신 분들은 꼭 1탄과 2탄을 먼저 읽고 오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아래 이미지를 누르시면 1탄과 2탄으로 갑니다.


이 글은 제가 2023년 여름방학, 교육부 주관으로 열린 호남권 AI융합교육 리더 교원 양성 연수에 강사로 참여하며 여러 선생님들과 나눴던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인공 지능시대에 초등교사로서 어떤 자세를 가져야 할지 깊이 고민하며 작성했던 내용입니다.

시대를 바라보는 관점에 있어서 정답은 없습니다. 다만 저도 저 나름의 고민을 통해 내려보았던 생각들을 정리하고 선생님들과 이야기를 나눠보고 싶습니다. 이 글은 시리즈로 작성될 예정입니다. 시리즈로 작성될 글들을 통해서 여러분은 크게 세 가지 질문을 받게 되실 겁니다. 질문 하나하나 고민해보시고 글을 천천히 읽어내려 가시기를 권해드립니다.

시리즈의 세 번째 주제는 ‘세대와 도구의 변화, 그리고 격차’입니다.

우리는 지난 글에서 인공지능이 가지고 있는 한계에 대해 다뤄보았습니다. 그리고 그와 함께 이러한 한계점으로 인해 우리가 마주하게 될 여러가지 윤리적인 문제들과 교육적인 문제들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공지능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초등교사들이 마주하게 되는 세대와 도구의 변화, 그리고 격차를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0. 두 번째 질문
인공지능
인공지능

우리는 지난 시간에 알파고와 챗GPT의 사례를 살폈습니다. 어마무시한 학습량, 그것보다 더 무서웠던 사고 속도.

여러분에게 시리즈의 두번째 질문을 던져보겠습니다.

사고의 속도로 인간이 인공지능을 이길 수 있을까? 이길 수 없다면 교사의 역할은?

과연 우리의 사고 속도는 인공지능을 앞설 수 있을까요? 이번에도 지난 질문과 마찬가지로 사실에 대한 인정을 하고 시작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 인간은 사고의 속도에 있어서 인공지능을 이길 수 없습니다.

하지만 꼭 생각해봐야 하는 문제가 있지요. 과연 사고의 속도가 언제나 옳은 답을 내려주는지 말입니다. 우리는 여러 매체에서 챗GPT가 내놓은 각종 가짜 자료들을 보도한 것을 봤습니다. 요즘에는 패치가 진행되어 조금 덜 해졌지만, 과거에는 ‘세종대왕의 맥북사랑’에 대한 글을 써주기도 했습니다. 우리 인간들이 사고의 속도에서는 뒤질지 모르지만, 결국 사고의 방향을 설정해야 하는 것은 인간들입니다.

그리고 2탄에서 다룬 사례들을 살펴보며 인공지능에게 결여될 수 밖에 없는 윤리성을 확인했습니다. 사용자의 도덕성에 따라 인공지능은 문명의 이기가 될 수도 있고, 스티븐 호킹 박사의 말처럼 최악의 사건이 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옳은 인간을 길러내야 합니다. 비판적 사고력을 가지고 인공지능을 대할 수 있는 온전한 인간을 길러야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러한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교사입니다. 사고의 속도가 뒤쳐진다고 해서 우리 교사들의 역할이 약해지는 것이 아닙니다.

1. 세대와 도구의 변화

우리는 세대의 변화를 언급할 때, 다음과 같이 그 변화를 이야기하고는 합니다.

  • 베이비붐: 1946~1964년생
  • X세대: 1965~1980년생
  • 밀레니엄세대: 1981~1996년생
  • Z세대: 1997~2010년대 초
  • 알파세대: 2010년대 초~현재

대략적으로 각 세대별로 약 15년에서 20년 사이 정도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아주 규칙적입니다. 요즘 귀에 딱지가 앉도록 듣고있는 MZ세대의 범위가 생각보다 무척이나 넓은 편입니다. 세대의 구분을 이런데, 도구의 변화는 어떨까요?

인공지능
  • 구석기시대: 약 70만년 전
  • 신석기시대: 기원전 6천년 경
  • 청동기시대: 기원전 1천년 경
  • 철기시대: 기원전 300년 경
  • 반도체시대: 1947년, 최초의 반도체 등장 이후
  • 인공지능시대: 현재 진행 중

도구로 구분되는 각 시대의 기준은 사실 명확한 기준이 존재하지는 않습니다. 대략 이정도구나 생각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위의 출생연도에 따른 세대의 구분과 비교하여 도구로 구분한 시대는 그 기간이 매우 깁니다. 하지만 세대와 시대에는 굉장히 다른 차이점이 존재합니다. 바로 다음 시대로 넘어가는 기간이 갈수록 짧아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당장 예를 들어보면 뗀 석기를 사용하던 구석기시대에서 간석기를 사용하는 신석기시대로 넘어가는데 수십만 년이 걸렸습니다. 뗀 돌을 갈아서 쓸 생각을 하는데만 해도 엄청난 시간이 소요되었습니다. 하지만 반도체시대에서 인공지능시대로 넘어오는 것은 불과 수십 년만에 이뤄진 일입니다. 세대의 변화에 비해 오히려 시대의 변화는 그 가속도가 엄청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이번엔 우리들이 근무하는 학교 현장의 변화를 살펴봅시다. 아래의 도구 중에서 여러분은 어떤 교구부터 사용해보셨나요? 혹은 학창 시절 기준으로 어떤 도구를 활용하는 수업을 들어보셨나요? 젊은 세대의 선생님들께서는 아마도 처음 등장한 교구에 당황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인공지능

처음 도구의 이름은 궤도입니다. 전지 사이즈에 학습 내용을 만들어서 종이를 한 장씩 넘겨가며 사용하는 교구입니다. 저는 이 교구를 유치원생때 봤던 기억이 어렴풋이 나는 듯 합니다. 노래를 배울 때요. 그리고 중학생 때 보던 OHP입니다. 투명한 필름에 수업 자료를 인쇄하여 빛을 쏴서 스크린에 띄우는 방식입니다. 그 다음 등장하는 실물 화상기부터는 아마 대부분의 선생님들께서 써보셨으리라 생각됩니다.

이제 기억을 더듬어봅시다. 제 기억이 맞다면 저는 유치원생 때 궤도를 봤었고,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거치며 OHP를 봤습니다. 그 다음 실물 화상기와 프로젝터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학교 현장에 들어서기 시작했던 것 같고, 또 얼마 안지나서 번듯한 컴퓨터실에서 스타크래프트를 했던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현재 교실에는 보컴퓨터 화면을 띄울 수 있는 커다란 TV가 모든 교실에 있고, 상황이 좋은 학교는 전자칠판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교구의 변화 역시 가속도가 붙어가며 빠른 속도로 변해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더욱 빨라질 예정입니다. 아래 사진은 광주광역시 교육감과 전라남도 교육감의 인터뷰 내용 중 일부를 정리한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교육의 강화와 디지털 리터러시 함양 등입니다. 광주 전남쪽 뿐만 아니라 전국적인 추세가 이러합니다.

인공지능

우리는 수많은 연구학교를 거쳐왔습니다. IT계열을 살펴보면 ICT, SW를 거쳐 이제는 AI가 메인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상하지요? 옛날에 ICT연구학교나 SW연구학교만 하더라도 꽤 많은 학교들을 선발하여 국가나 시도교육청 차원에서 운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요즘은 그런 연구학교들을 찾아보기 힘듭니다.

이유는 연구학교의 축소와 더불어 이러한 IT계열의 연구가 더 이상 ‘특별한 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각종 디지털 기기들의 보급이 갈수록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고, 많은 젊은 교사들이 현장에 투입되며 자연스럽게 이러한 부분이 모든 학교에서 일정 부분 채워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젊은 세대들을 주축으로 한 현 시대의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강력한 힘이기도 합니다.

이래나 저래나 우리 교사들은 시대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적응해야 합니다. 미래에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우리는 언제나 파악해야 했습니다. 그것을 먼저 익히고 가르치는 일은 단 한번도 변한 적 없이 우리 교사들의 역할이었습니다. 다가올 인공지능의 시대에 우리 교사들은 적응을 해야합니다. ‘우선적으로는요.’

요즘 선진국들은 다시 종이 교구로 회귀하고 있다 합니다. 오랜 기간 전자기기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의 학습력에 썩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는 판단 때문입니다. 이 부분 역시 우리 교사들이 꼭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내용입니다. 지금까지 교사들이 활용해왔던 교구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 우리의 수업에 절대적으로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무척이나 위험합니다.

인공지능

하지만 우리는 또 다른 하나의 선택지를 얻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을지, 긍정적일 것인지, 그리고 그 효과가 충분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길게 고민해봐야 하는 부분일겁니다. 그래서 저는 선생님들께 항상 인공 지능‘도’ 활용할 수 있는 교사가 되시라고 말씀드립니다. ‘인공 지능을 활용한 수업이 무조건 좋다.’는 오류를 범해서는 안됩니다.

2. 그리고 격차

이러한 교구의 변화를 가속화 시킨 큰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아주 징글징글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등장입니다. 2020년 초, 우리는 갑작스러운 원격수업의 진행을 준비해야 했습니다. 정말 선생님들이 대단하고 존경스러웠던 것이 하나도 준비가 되지 않았던 그 시기를 묵묵히, 그리고 원활히 견뎌냈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이 과정에서 생각보다 큰 문제를 마주하게 됩니다.

인공지능

예상은 어느 정도 했지만,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큰 격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확인하게 된 것입니다. 위의 사진에 적힌 질문들은 제가 실제로 들었던 내용들입니다. 아주 속이 터졌습니다. 원격 수업에 들어와야 하는 아이가 영 들어오지 못하고, 학부모님들도 적응하지 못하는 모습을 봤습니다. 컴퓨터가 없거나 와이파이가 설치되지 않은 가정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학부모들의 격차도 여기에서 여실히 드러나게 됩니다. 여러모로 참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그리고 이런 어려움은 고스란히 우리 교사들에게 검은 ‘마수(?)’를 뻗치게 됩니다.

인공지능

제가 지은 초등교사 4행시입니다. 요즘의 우리에게 정말 잘 어울리는 내용으로, 나름 잘 지었다고 생각합니다. 여러 교실에서 얼마나 많은 일을 하고 계시는지 저도 너무나 잘 알고 있습니다. 저도 교사니까요. 하지만 우리는 다른 것은 몰라도 ‘교육’하나 만큼은 절대 포기할 수 없습니다. 포기해서는 안되는 직업이기도 하고요. 그래서 우리는 적응해야 합니다. 시대적 변화를 먼저 파악해야 합니다. 시대에 알맞은 교육을 고민하는 것. 그것은 우리 교사들의 정체성이기도 하다고 생각합니다.

3. 초등교사에게 인공지능이란?

초등교사에게 인공 지능은 교육을 이끌어가는 절대적인 존재인 교사의 ‘선택 사항’입니다. 위에서 언급한대로 인공지능을 활용하지 않으면 나쁜 수업이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지 못하는 교사는 능력이 모자란 교사라고 생각하는 것은 너무나도 위험합니다. 다만 시대적 흐름을 살피고 학생들에게 그 흐름을 가르쳐주기 위해서는 우리도 변화해야 하기는 합니다.

혹자는 교육계가 가장 발전이 더딘 조직이라 말합니다. 사실 공무원 세계가 다들 그렇지요. 변화를 두려워하고, 무사안일주의에 빠지기 쉽습니다. 하지만 현대의 악한 세태 속에서 우리는 큰소리 칠 수 있어야 합니다. 나는 교육전문가로서 교육의 모든 부분에 있어 당신들보다 우월하다고요. 우리는 변화하는 교사들이고, 뜨거운 열정을 가진 교사들이기 때문에 언제나 연구하고 성장하고 있다고요.

교사의 역할은 시대에 따라서 정말 다양하게 변해왔습니다.

하지만 단 한 번도 변하지 않은 역할이 있습니다.

우리 교사들은 절대적인 컨텐츠의 생산자이자, 수업의 설계자입니다.

인공지능

우려했던대로 글이 갈수록 길어져서 3탄으로 마무리하려 했던 글이…결국 4탄으로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4탄에서는 초등교육에서 AI융합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이것으로 ‘인공 지능시대! 초등교사로 살아남기 시리즈’ 3탄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그럼 4탄에서 만나요!!

image 60
해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완결편으로 넘어갑니다!

https://cue.search.naver.com/?from=da_anniv&pcode=naver_pcsearchright&campaign_id=2309-cue-001

네이버에서 준비중인 AI ‘큐’의 사용 대기명단 신청페이지입니다. 궁금하시면 신청하세요!

위로 스크롤